1. 삶의 지혜의 중요성
우리는 누구나 평온한 삶을 살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살다 보면 많은 어려움들이 나타납니다. 직장, 사업, 가족, 친구, 부부, 자녀, 돈, 건강 등등 사회, 조직, 개인간 관계 및 개인의 어려운 환경적 상황으로 힘든 상황들이 발생합니다. 인생이란 것이 원하는 대로 진행되지 않습니다. 항상 괴로운 상황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과학이나 사회 구조가 발전되어 삶의 편리성, 윤택함이 더한다고 해도 우리의 삶이 좋을 수도 있지만 괴로운 상황이 지속적으로 발생됩니다. 사람 간의 갈등, 개인 간의 편차와 치열한 삶의 경쟁 속에 느끼는 소외감 등 사회가 발전한다고 이런 것들이 없어지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왜 삶의 지혜를 언급하고자 할까요? 지혜는 우리의 어떤 상황 속에서도 삶을 잘 이끌 수 있는 원동력을 부여해줘 그래도 삶이 안정되고 평온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지혜는 우리의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긍정의 힘으로 현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욕심이 쌓이면 해가 될 수도 있지만 지혜가 쌓이면 쌓일수록 삶은 더욱더 건강하고 평온해집니다. 지혜는 그만큼 중요합니다.
2. 삶의 지혜란 무엇일까요?
무엇이 삶의 지혜일까요? 지혜의 사전적 의미는 '사물의 이치를 빨리 깨닫고 사물을 정확하게 처리하는 정신적 능력'이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내용이 어렵습니다. 우리는 어렸을때 부터 지식과 지혜의 차이를 듣고 자랐습니다. 하지만 살아오면서 지혜라는 부분에 있어 그렇게 많은 학습을 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각자의 삶 속에서 사람마다 편차가 발생하고 있고 대부분은 무엇이 지혜로운 삶인지 그렇게 크게 고민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경쟁사회에서 우리는 무엇보다 먹고사는 문제에 집중하면서 삶의 윤택함을 추구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먹고사는 문제가 우리의 마음을 평온하게 해주는 현실적이고 중요한 부분이기에 그렇습니다. 그런데 경제적 문제를 해결했다고 마음이 항상 평온하지 않습니다.
과연 지혜란 무엇을 의미할까요? 저에게 있어 지혜란 '삶을 평온하게 살도록 하는 내공의 원천' 이라고 얘기하고 싶습니다. 지혜는 우리 삶에 무엇이 바람직한지 알게 해 줍니다. 지혜는 삶에 있어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 알게 해 줍니다. 지혜는 어떤 선택이 올바른 판단인지 알게 해 줍니다. 지혜는 한마디로 삶을 건강하고 평온하게 살게 해 줍니다.
지혜를 쌓으려면 여러가지 이해가 필요합니다. 단편적인 이해로는 부족합니다. 먼저 자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자신을 이해한다는 것은 자신의 마음 작용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불편한 마음 작용이 우리가 괴롭다고 느끼는 것에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기 때문입니다. 마음 작용을 이해하면 자연스럽게 마음과 몸의 상호작용도 이해가 됩니다. 그리고 자신을 이해하면 타인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타인이 이해가 되면 사회적 상호작용도 이해가 됩니다. 이렇게 지혜는 자연스럽게 자신, 타인, 사회로의 연결고리까지 이해의 폭을 넓혀 바람직한 판단과 행동으로 자신을 이끌게 됩니다.
저 역시 살아오면서 많은 경험을 하였습니다. 좋은 일도 있었고 괴로운 일들도 있었습니다. 그런 과정을 거치면서 어떻게 하면 마음과 몸이 평온을 유지할 수 있는지 생각을 했습니다. 고민과 연습, 실천, 검증을 했습니다. 제가 경험하고 알고 있는 것이 정답이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지혜를 쌓으면서 삶이 과거보다 훨씬 평온해졌기에 그래도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생각합니다.
3. 삶의 지혜를 높이는 방법
1) 삶의 지혜 높이기 절차
- 1단계 - 관심 → 관심이 없으면 시작을 할 수도 없고 지속이 어렵습니다.
- 2단계 - 삶의 원리 이해 → 자신의 마음 작용에 대한 이해가 가장 중요합니다.
- 3단계 - 연습하기 → 삶의 원리를 이해한 것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 4단계 - 습관화 → 반복적으로 꾸준하게 실천하여 자기 것이 되는 것입니다.
- 5단계 - 피드백과 개선 →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상이 평온을 유지하고 있는지 지속적인 자기 피드백과 개선을 합니다.
상기와 같이 삶의 지혜를 높이기 위해서는 5단계의 과정을 밟아야 합니다. 제 경험에 비추어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관심이 생겼다면 삶의 원리부터 이해를 해야 합니다. 쉽게 말해 자신의 마음 작용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것이 구체적인 실행 단계에서 첫번째입니다.
2) 시작이 반
시작이 반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시작은 관심입니다. 관심부터가 시작입니다. 지금보다 나은 삶을 위해 경제적인 활동도 중요하지만 그것으로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삶의 지혜를 높이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삶의 평온을 찾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관심부터 가져 보시길 적극 추전해 봅니다.
'마음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 다스리는 방법 10가지 (0) | 2022.09.11 |
---|---|
마음 다스리는 법 - 착각에서 벗어나기 (0) | 2022.08.28 |
댓글